반응형
2025 전세자금대출 금리·한도 총정리 (은행별 최신 업데이트)
전세자금대출은 금리(우대조건 포함), 한도, 보증 유형(주금공·HUG·HF/기금) 조합에 따라 조건이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은행별 최신 금리·한도와 버팀목·디딤돌·특례 같은 정부보증형 상품까지 한 번에 비교하세요.
①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 은행별 금리(2025-09 기준): 약 3.2%~3.9%대
- 보증기관 선택(HF·HUG·주금공)에 따라 한도·보증료·심사속도가 달라짐
- 청년·신혼부부는 기금 우대 적용 시 2%대 금리도 가능
② 은행별 금리·한도 비교 (2025-09-19 기준)
※ 아래 금리는 HF 보증부 전세자금대출 월별 적용금리 기준입니다(은행·상품·우대조건에 따라 실금리는 달라질 수 있음). 한도·수수료는 은행/보증유형별 상이하니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은행 | 적용금리(연) | 우대조건(예시) | 한도(예시) | 비고 |
---|---|---|---|---|
국민 | 3.29% | 급여이체·카드·자동이체 | 보증유형·DSR 따라 산정 | HF 공시 기준 |
토스뱅크 | 3.33% | 급여·마이데이터 | 〃 | HF 공시 기준 |
기업 | 3.66% | 급여·적금·자동이체 | 〃 | HF 공시 기준 |
케이뱅크 | 3.67% | 급여·카드·신규거래 | 〃 | HF 공시 기준 |
신한 | 3.68% | 급여·적금·마이데이터 | 〃 | HF 공시 기준 |
하나 | 3.71% | 급여·카드·수신잔액 | 〃 | HF 공시 기준 |
카카오뱅크 | 3.75% | 급여·자동이체 | 〃 | HF 공시 기준 |
부산 | 3.76% | 지역우대·급여이체 | 〃 | HF 공시 기준 |
우리 | 3.88% | 급여·카드·자동이체 | 〃 | HF 공시 기준 |
농협 | 3.95% | 급여·지역화폐·카드 | 〃 | HF 공시 기준 |
③ 정부보증형 비교 (버팀목·디딤돌·특례)
항목 | 버팀목 | 디딤돌 | 특례 |
---|---|---|---|
대상 | 청년·신혼·저소득층 | 무주택 실수요, 신혼·다자녀 | 한시 운영 |
금리 | 2.0%~3.1% (청년 기준, 우대 적용 시 더 낮음) | 3%대 초반~중반 | 공고 시 변동 |
한도 | 최대 2억~3억 | 최대 3억~4억 | 예산 범위 내 |
장점 | 우대폭 다양, 금리 낮춤 | 실수요 중심, 장기 고정 선택 | 특정 기간 혜택 확대 |
주의 | 소득·자산 요건 엄격 | 주택가격·소득 제한 | 예산 소진 위험 |
④ 중도상환·대환 전략
- 중도상환해약금(신한 예시): 고정 0.76%, 변동 0.72%
- 부분상환·대환 타이밍에 따라 절세 및 이자 절감 가능
⑤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은행별 금리가 달라지는 이유는?
- A1. 기준금리·조달비용 + 우대금리 항목 충족 여부 때문입니다.
- Q2. 보증기관은 어떻게 선택하나요?
- A2. 한도·보증료·심사속도 차이를 반드시 비교해야 합니다.
- Q3. 청년·신혼부부 우대는 어디서 받나요?
- A3. 은행 우대 + 기금(버팀목·디딤돌) 우대가 중복될 수 있습니다.
👉 핵심 요약
- 은행 공시 + 우대항목 조합이 실질 금리 결정
- 보증기관 선택이 한도·보증료·속도를 좌우
- 서류 정확도·대환 전략이 최종 조건을 가른다
반응형
'주거 지원금·대출 가이드 > 전세자금 · 주택대출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청년·신혼부부 전세자금 우대 혜택 총정리 (0) | 2025.09.21 |
---|---|
버팀목·디딤돌·특례대출 비교표 (2025 최신판) (0) | 2025.09.21 |
전세자금대출 보완요청 실제 사례 & 대응 템플릿 (거절→보완→승인 가이드) (0) | 2025.09.07 |
전세자금대출 실행 후 관리법 (중도상환·금리대응·대환 갈아타기 총정리) (0) | 2025.09.07 |
전세자금대출 거절되는 주요 이유 TOP 5 (예방 가이드 포함) (1) | 202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