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거 지원금·대출 가이드/전세자금 · 주택대출 가이드

신생아 특례대출 자산심사 기준, 금고 현금 괜찮을까? (2025 최신판)

by 머니메이커 아빠 2025. 10. 15.
반응형

신생아 특례대출 자산심사 기준, 금고 현금 괜찮을까? (2025 최신판)

출산 가구를 위한 대표 금융상품, 신생아 특례대출은 저금리 혜택과 높은 대출한도로 많은 가정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신청 과정에서 가장 많은 질문이 나오는 부분은 바로 “자산심사 기준”입니다.

특히 “은행 돈을 빼서 금고에 넣으면 자산에서 빠질까?” 이 부분은 심사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큰 실수가 될 수 있습니다.


📘 신생아 특례대출 핵심 요약

신생아 특례대출 핵심 요약 인포그래픽

신생아 특례대출은 출산 또는 입양 가구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주택자금 정책상품으로, 소득과 자산 기준을 충족하면 일반 대출보다 훨씬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금리: 연 2.8% ~ 3.6%
  • 한도: 최대 5억 원
  • 자산 기준: 부부합산 4.88억 원 이하
  • 소득 기준: 부부합산 연 1억 원 이하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은 불합격 사례가 발생하는 항목은 바로 “자산심사”입니다.


💡 자산심사 구조 — 평균잔액 계산 방식

신생아 특례대출 자산심사 평균잔액 계산 인포그래픽

자산심사는 단순히 신청일 잔액이 아닌 ‘조회기준일 이전 3개월간의 평균잔액’으로 산정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월에 대출 신청을 한다면, 조회기준일은 1월 말이 되며, 2024년 11월부터 2025년 1월까지의 예금 평균잔액이 심사 대상입니다.

즉, 10월에 현금을 인출해 금고에 넣고 11월 이후 다시 입금하지 않는다면, 그 금액은 평균잔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평균잔액 산정 대상 자산

  • 예금 및 적금
  • 부동산 (시가 기준)
  • 주식 및 펀드
  • 자동차 (시세 기준)

💰 금고 현금 보유, 괜찮을까?

신생아 특례대출 현금보유 주의사항 인포그래픽

금고 현금은 원칙적으로 ‘금융자산’으로 조회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의적인 자산 회피 행위로 판단될 경우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심사기관에서 현금보유 사유를 요구할 수 있음
  • 출금 내역과 사용처를 명확히 증빙해야 함
  • 인출 후 단기간 내 재입금은 리스크로 간주

따라서 “자산 줄이기” 목적의 인출은 피하고, 교육비·이사비용 등 실제 사용계획이 있는 금액만 인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머니메이커아빠의 현실 조언

  • 심사 최소 3개월 전부터 계좌 잔액을 일정하게 유지하세요.
  • 금고 보유 현금은 ‘비금융자산’으로 따로 기록하면 좋습니다.
  • 대출기관마다 평균잔액 반영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문의 필수!

🔎 더 자세한 해설 보기

👉 💰 티스토리 자세히 보기 (머니메이커아빠 블로그)


🏷️ 태그: #신생아특례대출 #자산심사 #평균잔액 #금고보유 #특례보금자리론 #머니메이커아빠

본 글은 2025년 금융위원회 지침 및 한국주택금융공사 심사 기준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